본문 바로가기

★<호규방>/영화와 책

2016.8.23 - 엘리먼트 중

- 엘리먼트 = 열정과 재능이 만나는 지점

- 엘리먼트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고유한 재능과 열정을 찾아야만 한다. 왜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것을 찾지 못할까? 자신의 타고난 능력에 대한 사람들의 이해가 매우 제약되어 있다는 점.

1) 우리 능력의 범주에 대한 이해 부족 - 우리 모두는 상상력, 지성, 감성, 직관, 영성, 그리고 물리적이고 감각적인 인지에 있어 놀라운 능력을 가지고 태어난다.

2) 이러한 여러 능력이 서로 어떻게 유기적으로 연결되는지에 대한 이해의 부족

3) 성장과 변화에 있어 얼마나 커다란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가에 대한 이해의 부족


=> 대부분의 경우, 가장 커다란 문제는 바로 잘못된 교육으로 인해 생격난다.


인물들의 사례

- 질리언 린: 어릴 적 학업에 집중하지 못하고 산만해서 심리상담가를 만났지만 결정적으로 그 심리상담가가 부모에게 질리언은 댄서라고 조언해줌으로서 그가 세계적인 댄서가 됨.

- 매트 그로닝: 그림 그리고 유머감각을 이용한 직업을 원했기에 정규 교육을 포기. 훗날 심슨 가족으로 대성공.

- 폴 새뮤얼슨: 성적이 뛰어난 고등학생이었던 폴은 집에서 가깝다는 이유로 경제학의 명문(그는 몰랐던) 시카고 대학으로 진학해 강의를 듣다가 '거듭남'을 경험, 세계적 경제학자가 됨. 

- 폴 매카트니: 리버풀 인스티튜트에서 맨날 기타만 치고 놈. 리버풀 성당의 합창단에 지원했다가 떨어짐 (엘비스 프레슬리도 자신의 학교 합창단에서 떨어짐)


강조되는 주장들:

- 재능은 성장하면서 더 발현되기도 함 (존 클리세, 코미디언)

- 전 세계 교육제도는 매우 비슷한 특징을 가지고 있음

1) 학문적 재능에 대한 강조 - 언어와 숫자에 대한 비판적 분석과 논리적 추론 능력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함.

2) 과목 간의 위계 서열이 있음 - 수학, 과학, 언어 > 인문학 > 예술 (음악미술 > 공연예술)

3) 특정 종류의 평가 방식에 점점 더 크게 의존하고 있다는 점

Why?

- 현대 교육제도는 당시 유럽과 미국의 산업혁명 시기의 경제적 필요에 맞춰 설계됨

- 대학의 학구적 문화. 감성, 육체, 감각, 그리고 우리 뇌 상당 부분의 기능을 경시해옴.

- 많은 사람들은 단지 재정적인 안정을 위해 자신의 열정을 제쳐놓고 자신이 전혀 좋아하지 않는 직업에 종사한다. 문제는 당신이 단지 생활비를 벌기 위해 선택했던 그 직업에 10년 뒤에는 손쉽게 해외로 이전되어 버릴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만약 당신이 창의적으로 생각하고 자신의 진정한 능력을 탐구하는 것을 전혀 배우지 못했다면, 그때 당신은 무엇을 할 수 있을 것인가?

재밌는 예시들:

- 어른들에게 디지털은 외국어임에 반해 20세 미만의 사람들에겐 디지털은 모국어라는 예시

-> 내 아들 제임스는 학교 숙제를 할 때, 컴퓨터 화면에 대여섯 개의 창을 띄워둔다. 메신저 창은 끊임없이 깜박거리고, 핸드폰으로 계속 문자를 보내고, MP3 음악을 다운로드 받는 동시에 제임스는 어깨 너머로 TV를 시청한다. 정말로 숙제를 하고 있는지 알 수는 없지만, 마치 하나의 국가를 운영하고 있는 듯한 바쁜 모습을 보며 나는 간섭할 엄두조차 내지 못한다.